2020년 03월
월간 주요 경제 이슈 정리
핵심 키워드 코로나19 팬데믹 선언(유럽과 미국 코로나19 본격 확산) 글로벌 증시 역사적인 하락폭 기록.(나라별 주가 지수 약 -40% 가까운 하락 발생) 미국 4월말까지 자가격리 실시. 하이일드 스프레드 급등. 연준 긴급회의로 금리 0%로 빅컷. 5년만에 제로금리.(유동성 공급) 영국,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등 경기부양.(유동성 공급) 한국 공매도 금지. ECB 7500억 유로 규모 채권 매입.(유동성 공급) 뉴질랜드 모든 외국인 입국 금지. 미국과 한국등 9개 국가와 통와스화프 체결.(유동성 공급) 미/유럽 확산 및 사망자 급증. 독일 슈퍼 부양책 발표.(유동성 공급) 미 연준 경기부양 목적 무제한 양적완화 시행.(1번째 유동성 공급) 미 연준 우량기업 CP 매입 공식화.(2번째 유동성 공급) 한국 100조 규모 채권/주식/CP 매입 실시.(유동성 공급) G7 재무장관, 중앙은행 총재들의 경제 공조. 중국 4월8일 우한 지역 봉쇄령 해제.(발생 후 70일 경과시점) 중국 경기부양 차원 5G 사업 1800억 위안규모.(유동성 공급) 미국 2조달러 규모 3번째 경기부양책 만장일치 통과.(유동성 공급) 한은 무제한 채권 매입 발표.(유동성 공급) 미 실업청구건수 12배 증가. 사우디-러시아 감산합의 실패. 유가 10달러대까지 급락함. IMF, Fed 경기침체 들어섯다고 판단. 미국 4번째 슈퍼 경기부양책 준비중.(인프라 투자에 자금 집중)(유동성 공급) 일본 49개국 입국거부 공식화. 삼성디스플레이 내년부터 LCD사업 철수, QD 올인. SK하이닉스 매그나칩 파운드리 인수.
※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문제 발생 -> 각 나라별 대응책 발표 -> 코로나19 문제 발생 -> 각 나라 대응책 발표를 계속 반복 중. |
3/2일 ~ 3/10일자 이슈
- 지난 주 금요일(2월 28일) 금값이 급락했는데 그 이유는?
* 미증시 급락으로 헷지펀드사들이 마진콜(신용으로 매수했는데 주가가 계속하락하니깐 보유해야할 신용담보금이 계속 하락하면서 결국 담보금 부족현상까지 발생해 담보금을 채워야하는 시점) 당하면서 충당금 확보를 위해 금을 대량 매도하여 마진콜 당하지않게 충당금을 보충했을 것으로 예상.
- 유럽 증시는 코로나19 여파로 -3 ~ -6%대 급락... 여전히 증시 불안.
- 골드만삭스에서 올해 연준은 금리를 1% 인하 예상.
-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간 컨퍼런스콜 이후 공동성명 발표.
- 미국 연방 총재인 파월은 긴급공조 선언 후 금리를 0.5% 인하 실시.
-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들의 긴급회동 이후 금리인하 실시.
- 미/유럽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 및 사망자 증가로 증시 급락.
- 미 국채 금리도 사상최대를 계쏙 갈아치우면서 하락.
- 유럽과 미국에 코로나19 본격적 확산 시작.
* 미/유럽 증시 하락하였으며 유럽의 경우 4%대 급락했음.
- 코로나19에 대한 공포로 미 국채 2년 ~ 30년물 전부 영점대 금리.
- 유가는 급락 중인 상태임 그 이유는,
* OPEC+에서 감산 합의 실패. 러시아가 반대했음
* 뒤이어 사우디에서 기름을 증산하겠다고 발표. 유가 -20%하락.
* 러시아에서는 미국 셰일오일의 견제라고 암시를 하고 있는 상태임.
- 만약, 유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할 경우,
* 미국의 셰일오일관련 기업들의 채권인 하이일드스프레드 금리가 폭등 or 부실 기업 디폴트 가능성도 있다.
- 오일쇼크로 유럽 증시 현재 급락장 연출.
- 미증시 연일 급락에 따른 써킷브레이크.
- 유럽 증시 -7 ~ -11%로 엄청난 하락..
- 3월 10일 기준 중국 코로나19 폐렴 발생 43일차.
- 3월 10일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후 18일차.
3/11일 ~ 3/20일자 이슈
- 아래 코로나19 이슈로의 경제 대책안 발표로 미국 증시 큰폭 상승 마감
* 월스트리트저널(WSJ)과 AP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과 국회에서 공화당 의원들과 정례 오찬을 가진 자리에서 우한 코로나 경제대책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연말까지 급여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 러시아의 경우 OPEC+ 감산 합의 협상 결렬 영향으로 급락장 발생.
- 중국 44일차에 코로나19를 이겨낼 수 있고 경제 회복에 집중한다고 발표.
- 미국-사우디 원유 감산관련 전화통화 했지만 사우디에서 무시.
- 미국 -9% ~ -10% 급락.
- 브라질 -14% 급락.
- 유럽 -10% ~ -12% 급락.
- 코로나19 피해가 가장 심한 이탈리아 -16.9% 급락.
- 금융위에서 3월 16일부터 6개월간 공매도 금지 정책을 시행 발표.
- 연준, 긴급회의를 통해 금리 0%로 빅컷 실시. 5년만에 제로금리 결정.
- 이어서, 공식적인 양적완화(QE) 발표.
- 미연준, 직업 기업 어음을 매입 발표.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업어음(CP) 매입에 나선다.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정책에도 시장이 안정되지 않자 기업에 직접 현금을 제공하겠다는 것
- 1일짜리 Repo 거래 한도를 1,750억달러에서 5,000억달러로 증가.
- 2주내에 부자를 제외한 전국민에게 1,000달러 지급 발표.
- 유럽 각종 부양정책 시행(QE)
- 베트남, 유럽 26개국 입국 금지와 모든 외국인에 대해 30일간 비자 발급 중단.
- 미국 경기부양을 위해 1조달러 규모 공급 계획 제안.
- 영국, 경기부양위해 500조원 규모 추가 공급.
- 스페인 274조원 규모 긴급지출 계획 중.
- 이탈리아 250억유로 규모 긴급 자금 지출 공식 발표.
-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벨기에, 한국 공매도 금지 실시.
- ECB(유럽 중앙은행) 7500억유로(1000조원) 규모 본드 매입 실시.
- 한은, 채권시장 안정을 위해 국고채 1조 5,000억원 단순 매입 발표.
- 연준 MMMFLF 기구 도입하여 MMMF CP매입 발표.
* 연준에서 A-등급 이상의 기업어음인 단기채권을 매입하는 것과 더불어 단기채권에 투자하는 머니마켓 뮤추얼펀드(MMMF)에도 돈이 빠져나가면서 투자금이 감소하고, 이는 단기채권을 발행한 기업에 돈이 부족한 현상이(신용경색) 발생할 수 있어 이를 해결하려고 조치한듯. 이걸로 해결이 되면 좋은데 진짜 간신히 연명하는 거라면 불안불안함... 연준의 목표는 우량기업이 이러한 사태로 폐업하지 않도록 돕기위한 정책인듯... 그럼 비우량기업은 결국 어쩔 수 없이 파산해야하고, 그 충격을 전부 받을 준비를 하고 있는 모습이 있어야 하는데 그게 대규모 자금 공급인가???
- 뉴질랜드 오늘밤부터 모든 외국인 입국 금지. 국경 봉쇄.
- 미 연준은 한국등 9개 국가와 통화스와프를 체결했다고 공식 발표.
- 미, 사우디-러시아 증산 경쟁에 적극 개입하는 방안 검토 기사 발표.
3/21일 ~ 3월 31일자 이슈
- 코로나19, 미국 주요 핵심 지역에서 확산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 美상원, 공화당 부양 법안 통과 실패…민주와 협상 난항으로 미 선물 -5% 하락.
- 미 2조달러 슈퍼 부양책 제안이 미 상원에서 부결.
- 인도 80곳 지역 봉쇄 및 이동 통제 실시.
* 삼성전자, LG전자, 현대/기아차 등 한국 주요 기업 공장 shutdown 발생.
- 미국 대량 해고 본격적 진행.
- 뉴욕 거래소 객장 패쇄. 전원 자택근무로 전환.
- 독일 균형재정 버리고 슈퍼부양책 꺼냈다~!!
- 연준 무제한 양적완화 시행 공식 발표. (회사채 공식 매입 실시)
- 미, 2조달러 경기 부양 정책 미국 시간으로 24일 재투표 예정이라고 발표함.
- 한국 정부에서 기업/금융시장에 100조원 자금 긴급 투입.
- 한국 100조 지원 자금 중 채권·주식·CP에 48.5조 돈풀기.
-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가 모여 전화회의 후 공동성명을 발표.
- 미 트럼프는 4월 12일(부활절)까지 정상화 하고자하는 의지를 내비침.
- 이탈리아의 코로나19 확진자 증가 추세가 둔화됐다는 소식으로 유럽 증시 반등.
- 중국은 곧 우한지역 봉쇄령 해제를 한다고 발표함.
- 중국 경기부양 차원에서 5G관련 사업에 약 1800억 위안 규모 투자 발표.
- 유럽의 경우 주요 국가의 경기부양 정책으로 증시 상승 마감했음.
- 장중에 미 상원 '사상 최대' 2조달러 경기부양안 만장일치 통과 기사 발표.
- 한국은행 무제한으로 채권 매입 기사를 발표했음.
- 미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 283K -> 3,283K 건으로 일주일사이에 12배 증가.
- 사우디와 러시아의 감산 재합의 무산과 계속 증산하겠다는 사우디의 발표.
- IMF, Fed에서도 경기침체에 들어섯다고 판단.
- 미 트럼프 4번째 슈퍼 경기부양책 준비 중이라고 발표.
* 이번 경기부양 자금은 인프라스트럭처에 집중 투자할 것이라 예고.
- 일본 49개국 입국거부 공식화 발표함.
- 무디스 미 회사채 신용등급 전망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고 발표함.
- 미 트럼프 부활절까지가 아닌 4월 말까지 자가격리. 자가격리 기간이 증가했음.
- 코로나19에도 반도체 전망은 아직 밝다. D램과 낸드가격이 조금씩 상승 중.
- SK하이닉스가 매그나칩의 파운드리 사업은 인수확정.
- 중국, 코로나19여파로 추가 유동성 공급을 발표.
- 삼성디스플레이는 내년부터 LCD사업 철수하고 QD-OLED로 전환한다고 발표.
- 3월 31일 기준 중국 코로나19 폐렴 발생 64일차
- 3월 31일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후 39일차.
'경제 > 월간 주요 경제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솔남의 2020년 05월 월간 주요 경제 이슈 정리 (0) | 2020.06.03 |
---|---|
개솔남의 2020년 04월 월간 주요 경제 이슈 정리 (0) | 2020.05.07 |
개솔남의 2020년 02월 월간 주요 경제 이슈 정리 (0) | 2020.03.23 |
개솔남의 2020년 01월 월간 주요 경제 이슈 정리 (0) | 2020.03.23 |
개솔남의 2019년 12월 월간 주요 경제 이슈 정리 (0) | 2020.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