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TP 상태 조회 시 출력되는 값들은 과연 무엇일까?
remote |
NTP Server로 지정한 IP. * : 지금 동기화하고 있는 IP. + : 동기화가 가능한 second IP. -, space, x, #, . : 접속은 가능하지만 sync List에서 제외된 IP. - (outlyer) : cluster 검사결과 사용되지 않는 서버. x (falsetick) : false ticker 검사결과 사용되지 않는 서버. # (selected) : 동기 거리가 멀지만 참조 가능한 서버. . (excess) : 참조서버가 많아서 사용되지 않는 서버. space (reject) : 거리가 멀어서 사용되지 않는 서버. |
refid |
remote Server가 sync하고 있는 straum 서버. 만약, st 값이 3일 경우 remote는 straum 3번이 되고, refid는 straum 2번이 됨. |
st(stratrum) |
NTP Server를 통과한 개수. |
t |
Unicast 또는 Broadcast 를 사용했는지 나타내줌. "u" : unicast "d" : broadcast. |
when |
동기화 후 지난 시간(sec). |
poll |
생략. |
reach (reachability) |
타임서버에 완전히 접속하기 위한 8진수로 377이거나 이 숫자와 가까워야 좋음. |
delay |
지연된 값으로 양의 값으로 적을 수록 좋음.(단위 : 밀리초) |
offset |
동기화한 타임서버 시간과 로컬 서버와의 시간 차이를 나타냄.(단위 : 밀리초) |
jitter |
얼마나 빨리 타임서버가 알려주었는지를 나타냄. 1000ms(1초) 미만이 되야함.(단위 : 밀리초) |
사용 Port | TCP 123 |
도메인 | kr.pool.ntp.org
asia.pool.ntp.org |
도메인 / IP | 보라넷 : time.bora.net / 203.248.240.140
PSInet : time.nuri.net / 211.115.194.21
MS : time.windows.com / 65.55.21.20 |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에서 리눅스 명령어를 사용해보자 (0) | 2020.06.16 |
---|---|
APM6 Tool에 SSL 설정하기 (0) | 2020.06.16 |
아이폰과 구글 캘린더 연동 및 동기화 하기 (0) | 2020.04.21 |
인증서 변환 방법(ver.리눅스) (0) | 2020.04.21 |
고민되는 노트북 구매! 먼저 검색보단 스스로 Self Check 해보자. (0) | 2020.04.09 |
댓글